상담신청
대표번호 1533-7609
포트폴리오
고객후기
top
포트폴리오

10~20평 세종 나성동 카페 17py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01회 작성일 24-03-12 10:03

본문

가격 : 0만원대

 


752e5d2a636c48f176a6e6433cf9eb9e_1710205382_1085.jpg

 






위치 ​세종 나성동


형태 상가


면적 17평


벽.바닥 ​도장.자기질타일







_



COUNTER

계산대


이번 현장은 세종 나성동에 위치한 모던한 디저트 카페입니다. 화이트와 블랙을 사용하여 심플하게 연출하고 곳곳에 무드에 어울리도록 포인트요소를 넣었습니다.
카운터도 전체적인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도록 화이트로 제작하였습니다. 카운터 벽면과 상판의 인조대리석은 화이트색감으로 통일하였는데 이 부분은 디저트와 메뉴를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함입니다. 바리스타존과 세면대의 벽타일은 심플하면서도 물결무늬가 있는 석재재질 같은 타일로 마감하였는데 은은한 포인트가 되어줍니다.
아트월 위에는 카운터 길이와 맞추어 간접조명을 넣어주었습니다. 간접조명이 더해져 아담한 공간에 확장성이 느껴집니다.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069_8864.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072_8396.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190_7928.pn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248_7113.jpg



















_



INSIDE

내부


벽은 깔끔한 수성도장보다 입체감이 있는 스타코가 사용하여 매장에 무게감이 느껴지도록 하였습니다. 큰 조형미가 들어가지 않고 심플한 바탕에 가구와 소품으로 포인트가 되는 공간에는 벽 마감재가 중요합니다. 포인트가 될 가구와의 심리적 무게감을 맞춰주는게 좋습니다. 바닥은 진한 검정색의 자기질 타일로 시공하여 벽면은 모두 화이트로  연출하였는데 이러한 요소로 인해 중앙에 테이블과 달을 연상시키는 펜던트가 멋진 포인트가 되어줍니다. 테이블은 자작나무와 MDF를 혼용하여 제작하였고 채도가 낮은
우드컬러를 연출하여 조경이 돋보이도록 하였습니다. 세련된 정적임이 느껴지는 이 곳의 무드는 방문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편안함이 느껴지게 하는 공간입니다.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325_5795.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345_2281.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544_3358.pn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889_7048.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890_6512.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890_8734.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894_8297.jpg




















_



OUTSIDE

외관


외관은 기존 건축물의 벽면을 활용하였습니다. 샵의 상호글자가 눈에 들어오도록 LED글자로 제작하였고 후에 테라스를 꾸미신다는 계획이 있으셔서 어닝을 설치해드렸
습니다. 외관의 모습도 내부의 컨셉과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입문에는 모던한 감성으로 오픈,클로즈 시간을 시트지로 마감해드렸습니다. 
이 곳의 포인트는 문 손잡이인데 기존 문을 철거하고 새로 제작하여 시공하면서 돌 손잡이로 설치해드렸습니다. 돌이 가진 색감이 외관과도 어울리며 방문하시는 분들에게
색다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5981_1496.jpg

a472459efb3610d51c30b6c8490b0f1d_1710236200_894.jpg









 




-


기능과 감각이라는 언어로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어갑니다.



공간을 연구하는 기호디자인